TheBest

블로그 이미지
단군의 후예이길 거부하는자 .. 꺼져주시길
by InsertCoin

TAG CLOUD

  • Total hit
  • Today hit
  • Yesterday hit

삼성기 전 하편(三聖記全 下篇)

- 원동중(元董仲) 지음 -

  人類之祖曰那般初與阿曼相遇之處曰阿耳斯它夢得天神之敎而自成婚禮則九桓之族皆其後也

  인류의 조상을 나반(那般)이라 한다. 처음 아만(阿曼)과 서로 만난 곳은 아이사타(阿耳斯它)라고 하는데, 꿈에 천신의 가르침을 받아서 스스로 혼례를 이루었으니, 구한(九桓)의 무리는 모두 그의 후손이다.


  昔有桓國衆富且庶焉初桓仁居于天山得道長生擧身無病代天宣化使人無兵人皆作力自無飢寒傳赫胥桓仁古是利桓仁朱于襄桓仁釋提任桓仁邱乙利桓仁至智爲利桓仁或曰檀仁

  옛날에 한국(桓國)이 있었는데, 백성은 부유하였고 또 많았다. 처음 한인(桓仁)께서 천산(天山)1)에 올라 도를 얻어 오래오래 사셨으니 몸에는 병도 없었다. 하늘을 대신해서 널리 교화<宣化>하시니 사람들로 하여금 군대를 동원하여 싸울 일도 없게 하였으며, 누구나 힘껏 일하여 주리고 추위에 떠는 일이 없게 되었다. 다음에 혁서(赫胥) 한인, 고시리(古是利) 한인, 주우양(朱于襄) 한인, 석제임(釋帝任) 한인, 구을리(邱乙利) 한인에 전하고 지위리(智爲利) 한인에 이르렀다. 지위리 한인은 단인(檀因)이라고도 한다.


  古記云波奈留之山下有桓仁氏之國天海以東之地亦稱波奈留之國其地廣南北五萬里東西二萬餘里摠言桓國分言則卑離國養雲國寇莫汗國句茶川國一羣國虞婁國(一云畢那國)客賢汗國句牟額國賣句餘國(一云稷臼多國)斯納阿國鮮禾卑  國(一稱豕韋國或云通古斯國)須密爾國合十二國也天海今曰北海傳七世歷年三千三百一年或云六萬三千一百八十二年未知孰是

  옛글에 말한다.

「파나류산(波奈留山)2) 밑에 한인씨(桓因氏)3)의 나라가 있으니 천해(天海)4) 동쪽의 땅이다. 파나류의 나라라고도 하는데 그 땅이 넓어 남북이 5만 리요 동서가 2만여 리니 통틀어 말하면 한국이요 갈라서 말하면, 비리국(卑離國)5), 양운국(養雲國), 구막한국(寇莫汗國), 구다천국(句茶川國)6), 일군국(一群國), 우루국(虞婁國 혹은 필나국(畢那國)7), 객현한국(客賢汗國), 구모액국(句牟額國), 매구여국(賣句餘國 혹은 직구다국(稷臼多國)8), 사납아국(斯納阿國), 선비이국(鮮椑爾國 혹은 시위국(豕韋國) 또는 통고사국(通古斯國))9), 수밀이국(須密爾國)10)이니 합하여 12국이다. 천해(天海)는 지금 북해(北海)라 한다. 7세에 전하여 역년 3,301년 혹은 63,182년이라고 하는데 어느 것이 맞는 말인지 알 수가 없다.」


  桓國之末安巴堅下視三危太白11)皆可以弘益人間誰可使之五加僉曰庶子有桓雄勇兼仁智嘗有意於易世以弘益人間可遣太白而理之乃授天符印三種仍勅曰如今人物業已造完矣君勿惜厥勞率衆三千而往開天立敎在世理化爲萬世子孫之洪範也

  한국의 말기에 안파견(安巴堅)이 삼위(三危)12)와 태백(太白)13)을 내려다보시며「모두 가히 홍익인간(弘益人間)14) 할 곳이로다」하시며 누구를 시킬 것인가 물으시니 오가(五加)15) 모두 대답하기를「서자(庶子)16) 한웅이 있어 용맹함과 어진 지혜를 함께 갖추었으며 일찍이 홍익인간의 이념으로써 세상을 바꿀 뜻이 있었사오니 그를 태백에 보내시어 이를 다스리게 함이 좋겠습니다」하니 마침내 천부인 세 가지<天符印 三種>17)를 내려주시고 이에 말씀을 내려,「사람과 물건의 할 바<人物業>가 이미 다 이루어졌도다. 그대 수고로움을 아끼지 말고 무리 3,000을 이끌고 가 하늘의 뜻을 열고<開天> 가르침을 세워 세상에 있으면서 잘 다스려서<在世理化> 만세(萬世)의 자손들에게 큰 모범<洪範>이 될지어다」라고 하셨다.


  時有盤固者好奇術欲分道而往請乃許之遂積財寶率十干十二支之神將與共工有巢有苗有燧偕至三危山拉林洞窟而立爲君謂之諸畎是謂盤固可汗也

  때에 반고(盤固)18)라는 자가 있어 기이한 술법을 즐기며 길을 나누어<分道> 가기를 청하니 이를 허락하였다. 마침내 재화와 보물을 꾸리고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의 신장(神將)들을 거느리고 공공(共工), 유소(有巢), 유묘(有苗), 유수(有燧) 등과 함께 삼위산(三危山)의 납림동굴(拉林洞窟)19)에 이르러 군주(君主)가 되었는데 이를 제견(諸畎)이라 이르니 그를 반고가한(盤固可汗)이라 했다.


  於是桓雄率衆三千降于太白山頂神壇樹下謂之神市是謂桓雄天王也將風伯雨師雲師而主穀主命主刑主病主善惡凡主人間三百六十餘事在世理化弘益人間

  이에 한웅이 3,000의 무리를 이끌고 태백산20) 꼭대기의 신단수(神檀樹) 밑에 내려오시니 이곳을 신시(神市)라 하고 이 분을 한웅천왕이라 한다.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를 거느리고, 곡식․생명․형벌․병․선악을 주관하고, 무릇 인간의 360여 가지 일을 모두 주관하여 세상을 이치로 교화하였으니<在世理化>, 널리 인간세상에 유익함<弘益人間>이 있었다.


  時有一熊一虎同隣而居嘗祈于神壇樹願化爲神戒之氓雄聞之曰可敎也乃以 呪術換骨移神先以神遺靜解靈其艾一炷蒜二十枚戒之曰爾輩食之不見日光 百日便得人形熊虎二族皆得而食之忌三七日熊能耐飢寒遵戒而得儀容虎則 放慢不能忌而不得善業是二性之不相若也熊女者無與爲歸故每於壇樹下呪 願有孕乃假化爲桓而使與之爲婚懷孕生子有帳

  때에 한 곰과 한 범<一熊一虎)>이 이웃하여 살았는데, 일찍이 신단수(神檀樹)에서 빌었다.「원컨대 변하여 신계의 한 무리<神戒之氓>21)가 되게 하소서」하니, 한웅이 이를 듣고 말하기를,「가르쳐 줄 것이다」라고 하였다. 마침내 주술(呪術)로써 몸을 바꾸고 정신을 바꾸었다. 먼저 신이 만들어 놓은 영혼을 고요하게 하는 것<神遺靜解靈>을 내놓았으니 즉, 쑥 한 다발과 마늘 스무 개<艾一炷蒜二十枚>이다. 이에 경계하여 가로되,「너희들 이것을 먹고 햇빛을 백 일 동안 보지 않으면 쉽게 사람의 형상을 얻으리라.<便得人形>」하니, 곰과 호랑이 두 무리<熊虎二族>가 모두 이를 얻어먹고 삼칠일 동안 기(忌)하였는데 곰<熊>은 기한을 잘 지켜서 타이름을 따르매 모습을 얻게 되었지만<得儀容>, 범<虎>은 게으르고 참을성이 없어서 금지하는 바를 제대로 실행하지 못하니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는 이 둘의 성질이 서로 닮지 않았기 때문이라. 웅녀는 더불어 혼인할 곳이 없었으므로 단수(壇樹)의 무성한 숲 밑에서 잉태하기를 간곡히 원하였다. 그래서 임시로 변화하여 한(桓)이 되고<假化爲桓> 그와 더불어 혼인하니 잉태하여 아들을 낳고 호적<帳>22)에 실리게 되었다.


  桓雄天王肇自開天生民施化演天經講神誥大訓于衆自是以後治尤天王闢土 地採銅鐵鍊兵興産時九桓皆以三神爲一源之祖主蘇塗主管境主責禍與衆議 一歸爲和白竝智生雙修爲居佺自是九桓悉統于三韓管境之天帝子乃號曰檀 君王儉

  한웅천왕이 처음으로 몸소 하늘을 열고<肇自開天> 백성을 낳아 교화를 베풀고 천경(天經)23)과 신고(神誥)24)를 가르치니 무리들이 잘 따르게 되었다. 이후에 치우천왕(治尤天王)이 땅을 개간하고 구리와 쇠를 캐내서 군대를 조련하고 산업을 일으켰다.<興産> 때에 구한(九桓)은 모두 삼신(三神)을 한 뿌리의 조상으로 삼고 소도(蘇塗)를 관리하고 관경(管境)25)을 관리하며 벌을 다스리는 것 등을 모두 다른 무리와 더불어 서로 의논하여 하나로 뭉쳐 화백(和白)을 하였다.(다른 해석)26) 아울러 지혜와 삶을 나란히 닦으면서 온전함을 이루었다.(다른 해석)27) 이때부터 구한(九桓)28)은 전부 삼한(三韓)29)에 통솔되고 나라 안의 천제의 아들은 단군왕검(檀君王儉)이라 불렀다.(다른 해석)30)


  密記云桓國之末有難治之强族患之桓雄乃以三神設敎以佺戒爲業而聚衆作 誓有勸懲善惡之法自是密有剪除之志

 《밀기(密記)31)》에서 말한다.「한국의 말기에 다스리기 어려운 강족(强族)이 있어서 걱정거리였다. 한웅은 마침내 삼신으로써 가르침을 만들고 전계(佺戒)를 베풀어 무리를 모아 서약을 시켜 선악을 상주고 벌하는 법을 갖게 하였다. 이로부터 슬그머니 토벌하여 벌할 뜻을 품었다.」


  時族號不一俗尙漸岐原住者爲虎新住者爲熊虎性嗜貪殘忍專事掠奪熊性愚 愎自恃不肯和調雖居同穴久益疎遠未嘗假貸不通婚嫁事每多不服咸未有一 其途也

  이때에 무리의 이름은 하나로 통일되지 않았고 풍속도 오히려 점점 달라졌다. 원래 살던 무리는 범 무리였으며 새로 살기 시작한 것은 곰 무리였다. 범 무리의 성질은 잔악한 짓을 즐기며 탐욕이 많아서 오로지 약탈을 일삼았고 곰 무리의 성질은 어리석으며 또 자만에 쌓여 조화를 이루지 못했다. 비록 같은 굴에 산 지 오래 되었다 하더라도 날로 멀어지기만 해서 일찍이 서로 도울 줄도 몰랐고 혼인도 터놓고 한 적이 없었다. 일마다 서로 따르지 않았고 모두가 하나같이 그 길을 같이 한 적이 없었다.


  至是熊女君聞桓雄有神德乃率衆往見曰願賜一穴廛一爲神戒之盟雄 乃許之使之奠接生子有産虎終不能悛放之四海桓族之興始此焉

  이에 이르러 곰 무리의 여왕<熊女君>은 한웅이 신과 같은 덕이 있다함을 듣고 무리를 이끌고 찾아가 뵙고 말한다.「원컨대 한 굴에 함께 사는 저희들을 위하여 굴 하나를 내려주시고 신계(神戒)의 무리<神戒之盟>로 받아 주옵소서」하니 한웅이 이를 허락하시고 저들을 받아들여 아들을 낳고 산업을 갖게<有産>하였다. 그러나 범 무리<虎>는 끝내 그 성질을 고치지 못하므로 이를 사해(四海)로 내쫓았다. 한족(桓族)의 일어남이 이렇게 하여 시작되었다.


  後有葛古桓雄與炎農之國劃定彊界又數傳而有慈烏支桓雄神勇冠絶以銅頭 鐵額能作大霧造九冶而採鑛鑄鐵作兵天下大畏之世號爲蚩尤天王蚩尤俗言 雷雨大作山河改換之義也

  뒤에 갈고(曷古)32) 한웅이 나셔서 염제신농(炎帝神農)의 나라와 땅의 경계를 정했다. 또 몇 대를 지나 자오지(慈烏智)33) 한웅이 나셨는데,  같은 용맹이 뛰어 났으니<神勇冠絶> 머리와 이마는 구리와 철의 모습<銅頭鐵額>을 하고 능히 큰 안개를 일으키듯 온 누리를 다스릴 수 있었고, 광석을 캐고 철을 주조하여 병기를 만드니 천하가 모두 크게 그를 두려워하였다. 세상에서는 치우천왕(蚩尤天王)이라 불렀으니 치우(蚩尤)란 속된 말로 ‘우뢰와 비가 크게 와서 산과 강을 크게 바꾼다‘는 뜻을 가진다.


  蚩尤天王見炎農之衰遂抱雄圖屢起天兵於西又自索度進兵據有淮岱之間及    軒侯之立也直赴

AND

ARTICLE CATEGORY

분류 전체보기 (131)
공지사항 (2)
JAVA (1)
ORACLE (12)
기타 (15)
JSP (1)
flash (7)
자존심의이유 (36)
secret (0)
좋은글 모음 (34)
UNIX (2)
민가 (21)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CALENDAR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

LINK